국보 8 호

[스크랩] 남북국시기 신라 제사장

♧문화재 지킴이 2013. 2. 2. 12:56

 

고조선 이래 이 땅의 사회적 정신적 유기체인 종교로 자리한 무교巫敎가 영토 안의 주요한 명산대천을 성지화聖地化하여 제사장으로 활용했으리라는 추측은 충분한 역사적 타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사료의 부족과 남북분단으로 고조선의 제사장은 오늘날 찾아보기조차 힘들다. 이러한 아쉬움과 안타까움을 대신하고자 먼저 사료에 남아 있는 남북국시기 신라의 제사장을 먼저 소개하고자 한다.

남북국시기 신라가 자신의 영토 안에 있는 명산대천을 주요 제사장으로 정한다. 이를 삼국사기에서는 <잡지雜志> 제일 첫 번째로 제사祭祀항목을 두어 정리하였는데, “37대 선덕왕(宣德王)에 이르러 사직단(社稷壇)을 세웠다. 또 사전(祀典)에 보이기를 모두 국내 산천뿐이고, 하늘과 땅에 미치지 못한다.” 고 하여 신라의 제천행사가 없었음을 전하고 있는데, 삼국사기편찬자들이 유교적 명분론을 의식하여 부인한 것으로 이해하기도 하고(서영대 1980 <삼국사기와 원시종교> 역사학보105), 하나의 신라적 특징으로 이해하기도 한다(정구복 1998 역주 삼국사기). 그런데, 당시 무교에서의 제천행사는 당연한 것으로 여겨져 굳히 제천을 위한 특정 장소가 필요하지 않아 기록에서 빠진 것은 아닐까. 이어 동국통감에서도 선덕왕 4(783)에 이와 비슷한 내용이 보이고 있다. 이후 신라가 제사장을 정한 때는 783년으로 굳어진 것으로 여겨진다(동사강목). 한편, 삼국사기기록에는 선농중농후농의 제사장이 소개되어 있지만, 편찬자들은 선농제는 있었어도 중농과 후농제는 없었다고 한다. 3산에 대해서는 수도 근방의 국가수호신 성격이 강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고, 5악은 남북국시기 이전에 성립되었지만, 남북국시기 이후 국방상 요지로서 신라 왕권의 상징적 존재로 자리매김하게 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정구복 , 윗 책). 한편, 속리악俗離岳부터 소사小祀로 보는 견해가 있고(이기백 1984 신라정치사회사연구, 일조각), 신증동국여지승람등의 기록에서는 이들을 중사로 정리하고 있어 아마도 어떤 계기로 중사에 더해진 제사장으로 이해하기도 한다(정구복 외, 윗 책). 또한 사성문제四城門祭부터는 잡사雜祀로 보는 견해가 있는데(신종원 1984 <삼국사기 제사지 연구> 사학연구38), 부정제部庭祭터줏대감제사, 사대도제四大道祭를 견전제遣奠祭의 노제 또는 특정 길 자체에 대한 제사로 이해하기도 하였으며, 압구제壓丘祭는 분구축조의식墳丘築造儀式의 일종, 벽기제辟氣祭는 벽사의식辟邪儀式의 일종으로 이해하고 있기도 하다(정구복 외, 윗 책) 따라서 이들 또한 보다 면밀한 추구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아울러 제사장의 위치가 아직 확정되지 않은 곳도 여러 곳 보이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도 현장 답사를 통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삼국사기에 정리되어 있는 남북국시기 신라의 제사장은 이 땅의 가장 오랜 전통을 지닌 종교였던 무교巫敎에서 신성시한 주요 산천을 유교적 국가 제사장으로 꾸며 이념적 통합을 꾀하였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겠다. 여기서의 무교는 물론 신라 전통의 무교만이 아닌 고구려와 백제 모두 함께 전해 온 무교라 하겠는데, 아쉬움이 있다면, 그 이전의 고조선 전통까지 제대로 아우르지 못한 점이 드러난다는 점이다. 한편, 이를 원시종교라고 이해하기도 한다(서영대, 윗 글). 데데하지만, 여러 선학들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여 남북국시기 신라 제사장을 아래 표로 소개한다.

<일러두기>

<>: 삼국사기<지리지>

<>: 삼국유사

<>: 세종실록지리지

<>: 신증동국여지승람

<>: 대동지지

<>: 동사강목

<>: 신채호 1948 조선상고사, 종로서원; 박기봉 옮김 2006, 비봉출판사

<김상>: 김상기 1969 <화랑과 미륵신앙에 대하여> 이홍식박사회갑기념한국사학논총

<>: 이병도 1977 국역삼국사기, 을유문화사

<>: 홍순창 1983 <신라의 삼산오악에 대하여> 신라민속의 신연구

<>: 민덕식 1983 <고구려의 도서현성고> 사학연구36

<김윤>: 김윤우 1987 <신라시대 대성군에 관한 고찰> 신라문화34합집

<김태>: 김태식 1993 가야연맹사, 일조각

<>: 최광식 1994 고대 한국의 국가와 제사, 한길사

<>: 정구복 외 1998 역주 삼국사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제품

제사장

소재지

비고

 

웅살곡熊殺谷

명활성 앞明活城南

(금성金城)

선농제장. 撿諸禮典, 只祭先農, 無中農後農. 경주시 보문동 일대(<>)

 

신성북문新城北門

(금성)

중농제장. 豐年用大牢, 凶年用小牢: 팔사八蜡(<>)

 

산원䔉園

(금성)

후농제장

 

견수곡문犬首谷門

(금성)

풍백風伯제장(<>1 고조선)

 

탁저卓渚

(금성)

우사雨師제장(<>1 고조선)

 

유촌遊村

본피부本彼部; 금성

영성靈星제장. 神遊林(<>;<>)

대사大祀

삼산三山

나력奈歷

습비부習比部; 금성

置神宮於奈乙, 奈乙始祖初生之處也(<> 소지마립간 92)

第二十二代 智證主, 於始祖誕降之地奈乙創立, 神宫以享之(<> 제사). 奈林(<>1 김유신). 경주(<>); 낭산狼山(<>, <>, <>); 명활산明活山(<>)

 

골화骨火

절야화군切也火郡

양주良州 임고군臨皐郡(<>); 금강산(<>, <>); 영천永川(<>); 영천시 완산동 금강산(<>); 영천시 완산(<>)

 

혈례穴禮

대성군大城郡

양주 밀성군 오구산현(<>); 청도 오례산(<>, <>, <>); 단석산(<김상>); 영일 어래산(<김윤>, <>, <>)

중사中祀

오악五岳

토함산吐含山

대성군大城郡

(). 양주(<>)

 

지리산地理山

청주菁州; 강주康州(<>)

(). 智異山(<>), 남원도호부(<>); 智異山神祠(<>), 고려와 조선도 그대로 따름(<>)

 

계룡산雞龍山

웅천주熊川州; 웅주熊州(<>)

(西). 공주목(<>), 조선 小祀 계룡산사(<>): 仙桃山(<>)

 

태백산太伯山

나이군奈已郡

(). 삭주朔州 나령군奈靈郡(<>); 삼척도호부(<>); 태백산사 天王堂(<>)

 

부악父岳

압독군押督郡

가온(). 공산公山. 양주 장산군獐山郡(<>); 대구도호부(<>)

사진四鎭

온말근溫沫懃

아곡정牙谷停

. 안강현 동쪽 24리 온지연安康縣東24里 溫之淵(<>); 울산군의 옛이름(<>); 울산 온양溫陽(<>; <(개운포)>); 경주 강동 국당리 또는 포항 연일 중명동(<>)

 

해치야리海耻也里

추화군推火郡

. 실제悉帝. 양주 밀성군密城郡(<>); 밀양(<>); 이궁대離宮臺와 풍류현風流峴(<>)

 

가야갑악加耶岬岳

마시산군馬尸山郡

. 웅주 이산군伊山郡(<>); 덕산현(<>, <>); 덕산德山(<>); 加耶岬祠(<>), 조선 中祀(<>)

 

웅곡악熊谷岳

비열홀군比烈忽郡

. 삭주 삭정군朔庭郡(<>); 안변(<>, <>, <>)

사해四海

아등변阿等邊

퇴화군退火郡

. 근오형변斤烏兄邊, 근오지변斤烏只邊(<>). 흥해군興海郡(<>, <>), 양주 의창군 임정현義昌郡 臨汀縣(<>); 포항 오천읍 일월동 일월못(<>)

 

형변兄邊

거칠산군居柒山郡

. 양주 동래군東萊郡(<>); 흥해군 형변부곡兄邊部曲, 동래현 모등변신사毛等邊神祠(<>); 동래(<>); 부산 당감동 일대(<>)

 

미릉변未陵邊

시산군屎山郡

. 전주全州 임피군臨陂郡(<>); 임피(<>, <>); 군산시 서해안(<>)

 

비례산非禮山

실직군悉直郡

. 명주溟州 삼척군三陟郡(<>); 양양도호부 동해신당東海神堂(<>, <>); 삼척(<>); 삼척도호부 두타산사頭陀山祠=대왕산사大王山祠=근산사近山祠(<>); 삼척(<>); 삼척 근산동(<>)

사독四瀆

토지하吐只河

퇴화군退火郡

. 참포塹浦. 양주 의창군良州 義昌郡(<>) 흥해군 곡강曲江(<>); 칠포리 암각화(<>); 포항 신광면 칠포(<>).

 

황산하黃山河

삽량주歃良州; 양주(<>)

. 양산군 가야진사加耶津祠(조선 남독南瀆 중사, <>, <김태>, <>); 양산(<>): 적석룡당赤石龍堂 고려 가야진연소伽倻津衍所(<>)

 

웅천하熊川河

웅천주熊川州; 웅주(<>)

. 웅진사熊津祠(조선 남독 중사, <>, <>)

 

한산하漢山河

한산주漢山州; 한주漢州(<>)

. 한강 북쪽 언덕 한강단漢江壇(<>, <>); 한남대교 한강진(<>)

중사中祀

속리악俗離岳

삼년산군三年山郡

상주尙州 삼년군三年郡(<>); 보은현 속리산 대자재천왕사大自在天王祠(<>, <>).

 

추심推心

대가야군大加耶郡

강주 고령군高靈郡(<>); 미숭산美崇山(<>); 고령군 고령읍(<>)

 

상조음거서上助音居西

서림군西林郡

웅주(<>); 웅진명소(<>; <>); 서천군 용당진사龍堂津祠(<>, 고려 때는 웅진명소熊津溟所, <>); 서천군 장항읍 창선동 도선장 부근(<>)

 

오서악烏西岳

결이군結已郡

웅주 결성군潔城郡(<>). 홍주 오서산烏西山(<>, 일명 오성산烏聖山, <>); 홍성군 장곡면과 보령시 청소면, 청라면 경계 오서산(<>)

 

북형산성北兄山城

대성군大城郡

양주(<>); 경주부 형산兄山(<>, <>); 경주시 강동면 국당리 형산(<>)

 

청해진淸海鎭

조음도助音島

해남현 청해진(<>, <>); 호국신사(護國神祠, 강진현 칠장리七長里 사현射峴(<>); 완도군 완도읍 장좌리 장도(<>)

소사小祀

상악霜岳

고성군高城郡

명주(<>); 고성군(<>); 금강산(<>, <>)

 

설악雪岳

수성군䢘城郡

명주 수성군守城郡(<>); 간성(<>); 설악산(<>)

 

화악花岳

근평군斤平郡

삭주 가평군嘉平郡(<>); 화악산(<>); 화악신사花岳神祠(<>); 가평(<>)

 

겸악鉗岳

칠중성七重城

한주 내소군來蘇郡 중성현重城縣(<>); 적성현 감악신사紺岳神祠(<>); 감악사(중사中祀, <>); 적성(<>)

 

부아악負兒岳

북한산주北漢山州; 한주(<>)

양주 삼각산三角山(<>); 경성(<>); 백악신사白嶽神祠(<>, 중악(中嶽) 삼각산을 여기 와서 제사 드리는데 삼각산 신은 북쪽에 있어 남향이고, 백악산 신은 동쪽에 있어 서향이다); 북한산(<>): 목멱신사木覓神祠(<>)

 

월나악月奈岳

월나군月奈郡

무주武州 영암군靈巖郡(<>); 월출산신사月出山神祠(<>, <>); 영암(<>); 월출산(<>)

 

무진악武珍岳

무진주武珍州;무주(<>)

무등산無等山(<>, <>); 광주(<>)

 

서다산西多山

백해군伯海郡 난지가현難知可縣

전주 벽계군壁溪郡(백이군伯伊郡은 백해군이라고 한다.) 진안현鎭安縣(난진아현難珍阿縣)(<>); 마이산馬耳山(<>, <>); 진안(<>); 서대산(<>)

 

월형산月兄山

나토군奈吐郡 사열이현沙熱伊縣

삭주 나제군奈隄郡 청풍현淸風縣(<>); 월악산月岳山(<>, <>); 청풍(<>)

 

도서성道西城

만노군萬弩郡

한주 흑양군黑壤郡(금물노군今勿奴郡) 도서현都西縣(도서현道西縣)(<>); 진천(<>); 백마령白馬嶺(<>); 괴산군 도안면 이성산성尼聖山城(<>); 진천읍 길상사吉祥祠(?<>)

 

동로악冬老岳

진례군進禮郡 단천현丹川縣

전주(<>); 무주(<>, <>); 노산爐山(<>, <>); 덕유산(<>)

 

죽지竹旨

급벌산군及伐山郡

삭주 급산군岋山郡(<>); 죽령竹嶺(<>, <>, <>); 순흥(<>)

 

웅지熊只

굴자군屈自郡 웅지현熊只縣

양주 의안군義安郡 웅신현熊神縣(<>); 웅천현 웅산신당熊山神堂(<>); 웅천(<>); 진해시 대장동 웅산(<>)

 

악발岳髮

우진야군于珍也郡

발악髮岳. 명주 울진군蔚珍郡(<>); 울진(<>, <>); 안일왕산安逸王山(<>)

 

우화于火

생서량군生西良郡 우화현于火縣

양주 동안군東安郡 우풍현虞風縣(<>); 우불신당亐弗神堂(<>); 우불산신당于弗山神堂(<>, <>); 경주(<>); 울주군 운암산(<>)

 

삼기三岐

대성군大城郡

양주(<>); 삼기산三岐山(<>); 경주시 안강읍 금곡산金谷山(<>, <>)

 

훼황卉黃

모량부牟梁部; 금성

무산대수촌茂山大樹村(<>, <>); 부산富山(<>); 단석산(?<>)

 

고허高墟

사량부沙梁部; 금성

돌산고허촌突山高墟村(<>); 남산 고허성(<>)

 

가아악嘉阿岳

삼년산군三年山郡

상주 삼년군(<>); 보은현 고적 오정산성烏頂山城(<>, <>); 보은군 보은읍(<>)

 

파지곡원악波只谷原岳

아지현阿支縣

경북 청하군(<>, <>, 현 포항시 북구 청하면)

 

비약악非藥岳

퇴화군退火郡

양주 의창군 안강현安康縣 비화현比火縣(<>); 경주 비학산飛鶴山(<>; <>); 포항시 흥해읍(<>)

 

가림성加林城

가림현加林縣

영암산靈嵒山우풍산虞風山은 있어도 가림성은 아니라고도 함. 웅주 가림군嘉林郡(<>); 성흥산聖興山(<>, <>, <>); 임천林川(<>)

 

가량악加良岳

청주菁州; 강주(<>)

합천 가야산(<>, <>, <>)

 

서술西述

모량부牟梁部; 금성

무산대수촌(<>); 선도산仙桃山(<>, <>, <>)

사성문제四城門祭

대정문大井門

(금성)

 

 

토산량문吐山良門

(금성)

 

 

습비문習比門

(금성)

명활산고야촌明活山高耶村 습비부習比部(<>)

 

왕후제문王后梯門

(금성)

 

부정제

部庭祭

 

양부

 

사천상제四川上祭

견수犬首

(금성)

 

 

문열림文熱林

(금성)

일월제日月祭.

 

청연靑淵

(금성)

 

 

박수樸樹

(금성)

 

 

영묘사 앞靈廟寺南

(금성)

오성제五星祭. 삼국유사4 <양지사석>

 

혜수惠樹

(금성)

기우제祈雨祭.

사도대제四大道祭

고리古里

(금성)

. 부산 기장군 장안읍 고리(<>): 발제軷祭(?≪고려사≫63)

 

첨병수簷幷樹

(금성)

.

 

저수渚樹

(금성)

.

 

활병기活倂岐

(금성)

. 활이기活伊岐(삼국사절요)

압구제

壓丘祭

 

 

압병제壓兵祭(? ≪고려사≫63) 

벽기제

辟氣祭

 

 

 

출처 : 고리아이 역사공부방 : Corean Clio
글쓴이 : 고리아이 원글보기
메모 :